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일상
- flutter
- 업무강도
- jupyter-notebook
- 회사
- loadentrypoint
- NN
- stone-weierstrass
- deep-learning
- 변속
- 다중
- universal-approximation
- neural-networks
- how-to
- optimizations
- multiclass-label
- miniconda
- 안장
- 로드
- cross-entropy
- 구매리스트
- 입문
- sftp
- vsCode
- serviceworkerversion
- Today
- Total
Happy Sisyphe
2025.04.27 외로움 본문
어제는 너무 피곤해서 오후 9시에 잠에 들었다.
눈떴을 때가 새벽 5시가 조금 넘은 시간이였는데, 벌써 5시간이나 지났구나.
간만에 깊게 잠들었더니 몸이 조금 개운해졌다.
외롭다는 건 불편하고 피하고 싶은 감정이다.
이 감정을 초래하는 불편을 피하고자 하는 동기를 이용해서, 생산적인 방식에 활용할 수도 있다. 내가 어제 한 것처럼.
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온갖 방식을 통해 온전히 그 불편함을 바라보기를 피할수도 있다.
아니면..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것처럼 어떤점이 날 이렇게 불편하게 만들고,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지 생각해 볼수도 있다.
예쁘고 멋진 포장들을 벗겨보고 나면 결국은.. 그냥 관심에 대한 갈구와 결여에 대한 감정인 것 같다.
세상과 연결됬다는 느낌을 받으면서, 사람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을까?
결국은 사람인것 같다.
인간관계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겠지만.. 친밀감이 느껴지는 사람과의 연결이 있어야 이 감정이 해소되는 것 같다.
친밀감을 느끼는 그 누군가가 내가 하는 말이나 행동을 의식해주고 진심을 다해 시간을 할애해본다는거.
거기에 지속성이 있고 애정이 있다는거.
결국에 관계는 상호적이기에 나 또한 그사람에게 기꺼이 그렇게 해주고 싶다는거.
그 관계가 개인에게 차지하는 비중의 크기만큼 외로움의 크기도 줄어드는 것 같다.
그리고 개인의 정신적인 성숙도에 따라, 그 관계의 안정성이 달라지는 것 같다.
정말 전인류애적인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연인이 아니여도 상관없을 것이다.
그게 사람이 아니라면 신이여도 상관없을 것이다.
홀로 온전할 수 있고 자기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고 하는데.
홀로 자기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도 외로움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.
다만 그 외로움이 그 사람을 잠식하고, 연쇄작용을 통해 다른 부정적인 영향이 본인 마음 속과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을 뿐.
과몰입하는 것은 그것대로 위험한 부분이 있다.
적당히 들여다봤으니까.. 이제 잊으러가야지.
'Dail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.04.25 도파민 디톡싱 (2) | 2025.04.25 |
---|